수도 코드는 위키피디아에서 이렇게 설명하고있다.
의사코드(슈도코드, pseudocode[1])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각 모듈이 작동하는 논리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이다.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따라 쓰인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언어로 코드를 흉내 내어 알고리즘을 써놓은 코드를 말한다. 의사(疑似)코드는 말 그대로 흉내만 내는 코드이기 때문에, 실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처럼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없으며, 특정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전에 알고리즘의 모델을 대략적으로 모델링하는 데에 쓰인다.
의사코드는 실제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엄밀한 문법을 따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양한 변종이 존재한다. 그러나 보통 사용자가 많은 C나 리스프, 포트란 프로그래밍 언어등의 문법을 본딴 모양이 많다. 엄밀한 묘사가 불필요한 부분에는 자연어가 자유롭게 쓰이기도 한다.
컴퓨터 과학의 전공 서적에서는 다양한 언어 구사자들이 모두 이해할 수 있도록 특히 의사코드를 많이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보통 의사코드는 저자마다 그 문법이 다르기 때문에, 책의 서두에는 의사코드의 문법이 간략히 설명되어 있기도 하다.
위키피디아 - 수도코드(pseudocode)
코드스테이츠 학원을 통해 개인적인 학습을 시작하면서, 기본 언어의 개념과 문법만 중요하다고 생각했었다. 단순히 문제만 보고 고민하면서 도저히 문제를 못풀 경우엔 다른 블로그에 올린 예제문제나 레퍼런스 코드를 많이 참조하면서 이해할 때 까지 반복 학습을 했었다. 4주차에 접어 들면서 알고리즘의 기본을 시작했을 때, 생각할 것들이 더욱 많아졌고, 생각만으로 바로 코드에 옮기기엔 거의 불가능 했었다. 항상 수도코드(pseudocode)를 먼저 작성해보고, 코드를 작성하라는 엔지니어분들의 조언에도 나는 늘 습관으로 행동했던게 먼져였었고, 막상 중간 중간에 어떻게 작성해야 문제가 풀리는지의 과정을 작성하는 것에서 내 발목이 잡히고 있다.
그래도 그냥 해보자는 생각으로 열심히 공부중이다.
'FE BE 개발 메모장 >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nsformFirstAndLast (0) | 2020.10.1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