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 BE 개발 메모장/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알고리즘 문제를 접하면서 수도코드를 시작하다.

수도 코드는 위키피디아에서 이렇게 설명하고있다.


의사코드(슈도코드, pseudocode[1])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때 각 모듈이 작동하는 논리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이다. 특정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에 따라 쓰인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언어로 코드를 흉내 내어 알고리즘을 써놓은 코드를 말한다. 의사(疑似)코드는 말 그대로 흉내만 내는 코드이기 때문에, 실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된 코드처럼 컴퓨터에서 실행할 수 없으며, 특정 언어로 프로그램을 작성하기 전에 알고리즘의 모델을 대략적으로 모델링하는 데에 쓰인다.

 

 의사코드는 실제 프로그래밍 언어처럼 엄밀한 문법을 따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다양한 변종이 존재한다. 그러나 보통 사용자가 많은 C 리스프, 포트란 프로그래밍 언어등의 문법을 본딴 모양이 많다. 엄밀한 묘사가 불필요한 부분에는 자연어가 자유롭게 쓰이기도 한다.

 

 컴퓨터 과학의 전공 서적에서는 다양한 언어 구사자들이 모두 이해할 수 있도록 특히 의사코드를 많이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보통 의사코드는 저자마다 그 문법이 다르기 때문에, 의 서두에는 의사코드의 문법이 간략히 설명되어 있기도 하다.

 

위키피디아 - 수도코드(pseudocode)

 


 코드스테이츠 학원을 통해 개인적인 학습을 시작하면서, 기본 언어의 개념과 문법만 중요하다고 생각했었다. 단순히 문제만 보고 고민하면서 도저히 문제를 못풀 경우엔 다른 블로그에 올린 예제문제나 레퍼런스 코드를 많이 참조하면서 이해할 때 까지 반복 학습을 했었다. 4주차에 접어 들면서 알고리즘의 기본을 시작했을 때, 생각할 것들이 더욱 많아졌고, 생각만으로 바로 코드에 옮기기엔 거의 불가능 했었다. 항상 수도코드(pseudocode)를 먼저 작성해보고, 코드를 작성하라는 엔지니어분들의 조언에도 나는 늘 습관으로 행동했던게 먼져였었고, 막상 중간 중간에 어떻게 작성해야 문제가 풀리는지의 과정을 작성하는 것에서 내 발목이 잡히고 있다.

 

그래도 그냥 해보자는 생각으로 열심히 공부중이다.

'FE BE 개발 메모장 > 자료구조 및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transformFirstAndLast  (0) 2020.10.16